아이 발달과 재활치료
🧠언어검사 결과해석 | 우리 아이 검사결과 쉽게 이해하는 법
soagwaunnie
2025. 8. 7. 10:00
반응형
1. 🧩 언어검사, 왜 받아야 할까요?
"또래보다 말이 느린 것 같아요."
"이름을 불러도 잘 안 돌아봐요."
"질문해도 대답을 잘 안 해요."
이런 걱정으로 병원을 찾는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그럴 때 가장 먼저 권유되는 것이 바로 ‘언어검사’예요.
언어검사는 단순히 말이 늦는지,
혹은 언어이해, 표현, 인지 등 전체 발달에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2. 📊 검사결과, 어떻게 봐야 하나요?
결과지에 이렇게 적혀 있다면?
“PRES 수용언어 3세 3개월 / 표현언어 2세 4개월 / 1%ile 미만”
이건 무슨 뜻일까요?
📝 해석하자면:
- 아이의 나이는 5세지만,
- 말을 이해하는 능력은 3세,
- 말을 표현하는 능력은 2세 4개월 수준
- 100명 중 1등도 안 되는 하위수준이라는 뜻이에요.
💡 보통 백분위 15% 이하면 치료가 권장되고,
1~2% 미만이면 중재가 꼭 필요합니다.
3. 🗣️ 검사 항목별 용어 쉽게 알기
용어 | 의미 |
수용언어 | 말귀를 알아듣는 능력 (이해력) |
표현언어 | 자기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 |
자음정확도(U-TAP) | 발음을 정확히 하는 비율 |
백분위(%) | 또래 아이들 중 어느 위치인지 나타냄 |
DQ | 발달 지수: 평균은 100, 70 이하면 지연 가능성 |
4. 🔍 어떤 경우 치료가 필요할까요?
- 의미 있는 단어가 24개월까지 없다면
- 36개월까지 두 단어 연결을 못한다면
- 발음이 너무 부정확해서 가족 외에는 못 알아듣는다면
- 검사에서 1년 이상 지연, 자음정확도 70% 미만이라면
👉 이 모든 경우, 언어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5. 🏥 치료는 어디서, 어떻게 받나요?
✅ 병원 (소아과·재활의학과)
- 보험 적용 가능
- 진단서 발급 가능
- 치료비는 비교적 높음
✅ 복지관/언어센터
- 발달재활바우처 활용 가능
- 접근성 좋고 치료비 부담 적음
6. 💰 꼭 알아야 할 바우처 정보
💡 발달재활바우처
- 만 18세 미만 아동
- 소득 기준 있음 (중위소득 180% 이하)
- 월 14~22만원 지원
💡 교육청 바우처 (굳센카드 등)
- 특수교육 대상자 (유치원·초중고 재학)
- 소득 무관
- 월 최대 12~22만원 지원
7. 💬 보호자 상담 시 꼭 물어보세요
👂 "아이가 또래에 비해 얼마나 지연됐나요?"
📈 "이 지연이 회복될 수 있는 수준인가요?"
🧩 "어떤 영역을 중점적으로 치료해야 하나요?"
🕰️ "주 몇 회 치료가 적절한가요?"
아이에게 맞는 치료 계획은 물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언어 자극 방법도 꼭 물어보세요!
📚 출처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청소년언어치료학회 가이드라인
- UpToDat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children" (2024)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더 많은 육아 정보는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하세요 👉 @소아과언니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