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중격결손이란?
1. 💔 심실중격결손이란?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 벽(중격)에 구멍이 생긴 선천성 심장질환입니다.
정상에서는 좌우 심실이 구분되어야 하지만, 결손이 생기면 좌심실의 혈액이 우심실로 흘러 폐혈류가 증가하고, 심장에 부담이 생깁니다.
🧒 대부분 생후 수개월 내 발견되며, 소리로 들을 수 있는 심잡음이 진단의 실마리가 됩니다.
2. 🔍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 🎧 심잡음 (진찰 시 발견)
- 😮💨 호흡이 빠르고 힘들어 보임
- 🍼 수유를 자주 멈추거나 먹는 양이 적음
- 📉 체중이 잘 늘지 않음
- 🦠 폐렴을 자주 앓음
⚠️ 단, 결손이 작으면 무증상인 경우도 흔합니다.
3. 🧪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 청진: 심잡음 유무 확인
- 심장초음파: 가장 중요한 검사!
- 결손의 크기, 위치, 좌우 심실 기능, 폐혈류량 평가
- 흉부 X선: 심장 크기, 폐혈류 확인
- 심전도(EKG): 심실 비대 여부 평가
- 필요 시 심도자술로 폐혈관 저항 측정
4. 📏 결손 크기별로 치료가 달라요!
분류 | 크기기준 (직경 mm) | 임상적 특징 | 치료 원칙 |
작은 결손 | < 4 mm | 무증상, 좌우 단차 적음 | 대부분 자발 폐쇄, 경과 관찰 |
중간 결손 | 4–6 mm | 일부 증상 가능 | 증상 여부에 따라 약물 치료 or 수술 |
큰 결손 | > 6 mm | 심부전, 폐혈류 증가 | 수술 필요 가능성 높음 |
💡 실제 치료는 혈류량(Qp/Qs), 폐동맥압, 영양 상태 등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5. 💊 약물치료는 언제 하나요?
심실중격결손 자체를 막지는 못하지만, 심부전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약물을 사용합니다:
- 이뇨제(Furosemide): 폐울혈 감소
- ACE 억제제(Captopril): 심부하 경감
- 고열량 분유, 영양보조: 성장 지연 예방
📌 약물 치료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성장 저하가 지속되면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6. 🔧 수술은 언제 필요할까요?
- 결손 크기 > 6 mm 또는 폐고혈압 동반
- 영양부족, 반복적인 폐렴 등 기능 저하가 동반된 경우
- 자연 폐쇄가 기대되지 않는 경우
🛠 수술 권고 시기
임상 상황 | 수술 권고 시기 |
큰 VSD + 심부전 증상(수유 곤란, 체중 정체, 잦은 폐렴 등) | 생후 6~8주 이내 |
Qp/Qs ≥ 2:1 + 폐고혈압 위험(폐혈류 과잉이 뚜렷한 경우) | 생후 2~3개월 이내 |
중간~큰 결손 + 폐혈류 과잉(Qp/Qs ≥ 2:1)무증상이지만 좌심실 확장 등 있는 경우 | 생후 3~6개월 사이 |
중간 결손 + Qp/Qs < 2:1 + 무증상(혈류 영향 없음) | ❌ 수술 불필요, 정기 추적 관찰 |
작은 결손 + 무증상 | ❌ 수술 불필요, 자연 폐쇄 가능성 높음 |
🛠 카테터 시술은 결손의 위치(근심부 등)에 따라 일부 선택적으로 가능합니다.
🛠 심실중격결손은 단순히 ‘크기’만으로 수술 시기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혈류가 얼마나 새는지(Qp/Qs 비율), 폐동맥 압력, 심장의 크기 변화, 아이의 증상 여부 등 여러 가지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정합니다.
같은 크기의 결손이라도, 어떤 아이는 경과 관찰만 하면 되고, 어떤 아이는 조기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 수술 성공률은 매우 높으며, 대부분 아이들은 정상적인 성장과 활동이 가능합니다.
7. 🗓 수술 후 추적 관리는 어떻게?
- 초기에는 1~3개월 간격 심초음파 추적
- 안정 후에는 6~12개월 간격으로 외래 추적
- 일부는 전도장애(심박 조절 문제), 누출 등의 합병증 감시 필요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출처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
- UpToDate: “Ventricular septal defects (VSDs) in infants and childre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is”, “Management and outcome of VSD”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심장학회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