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RSV 감염증 예방과 관리 방법

aesarang 2025. 2. 26. 22:14
반응형

1. RSV란?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는 영유아와 어린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주로 가을부터 겨울, 초봄까지 유행하며, 감염되면 기침, 콧물, 발열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생후 12개월 미만의 영아, 조산아, 만성 폐질환이나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아이들은 심한 호흡기 증상으로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2.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RSV 감염 후 26일)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지만,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영유아(특히 생후 6개월 미만)

콧물, 기침, 발열

빠르고 거친 숨소리(천명)

숨쉬기 어려움(호흡 곤란)

젖이나 분유를 잘 먹지 못하고 보채거나 처지는 모습

심한 경우 폐렴, 세기관지염으로 진행


✅ 소아 및 성인

기침, 콧물, 재채기

미열 또는 발열

인후통, 두통

전반적인 몸살 증상


대부분의 경우 1~2주 내에 자연 회복되지만, 영아나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은 심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RSV는 어떻게 전염되나요?


RSV는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침이 묻은 물건을 통해 전파됩니다. 바이러스는 손, 장난감, 문 손잡이, 식기류 등의 표면에서도 몇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어 쉽게 감염됩니다.

특히 형제자매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집단 감염이 흔히 발생하며, 가족 내에서 전파되기도 합니다. 감염 후에도 바이러스는 3~8일 동안 배출되며,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 최대 4주까지 전파 가능합니다.


4. RSV 감염 시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RSV 감염에 대한 특별한 치료제나 항바이러스제는 없습니다. 따라서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 방법

충분한 수분 섭취(모유, 분유, 따뜻한 물, 이온음료 등)

콧물이나 가래 제거를 위해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코세척

가습기 사용으로 실내 습도를 유지하여 기도 점막 촉촉하게 유지

열이 있으면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 사용


✅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호흡이 빠르고 힘들어 보일 때(늑골 사이가 쏙 들어감)

입술이나 손끝이 파래지는 경우(청색증)

젖이나 분유를 거의 먹지 못하고 심한 탈수 증상(오줌 양 감소, 처짐)

기침이 심해지고 숨을 가쁘게 쉬는 경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산소 치료, 수액 공급, 기도 흡인 치료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5. RSV 감염 후 언제 등원(등교)할 수 있나요?


RSV는 감염 후 1주 이상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이 내리고, 호흡기 증상이 호전된 후 최소 3~5일이 지난 후 등원(등교)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이집, 유치원에서는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아이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RSV는 한 번 걸리면 면역이 생기나요?


RSV는 다양한 유형(subtype)이 있으며, 한 번 감염되었다고 해서 평생 면역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같은 시즌에도 재감염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는 RSV에 걸리면 호흡기 합병증 위험이 크므로 예방이 중요합니다.


7. RSV를 예방하는 방법은?


RSV는 백신이 없기 때문에 철저한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 손 씻기 –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하게 씻기
✅ 기침 예절 지키기 – 기침할 때는 옷소매로 입 가리기
✅ 오염된 물건 소독 – 장난감, 식기, 문 손잡이 자주 소독하기
✅ 감염자와 접촉 피하기 – 감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최소화
✅ 면역력이 약한 아기 보호 – RSV 유행 시기(가을~겨울) 외출 자제

또한, 고위험군(조산아, 심장병, 폐질환 아동)은 RSV 예방 주사(팔리비주맙, nirsevimab) 접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8. RSV와 감기, 독감은 어떻게 다를까요?


✅ RSV – 콧물, 기침, 쌕쌕거리는 호흡음, 심한 경우 폐렴이나 세기관지염 유발
✅ 감기(라이노바이러스 등) – 가벼운 기침, 콧물, 미열, 전신 증상 거의 없음
✅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 심한 피로감 동반

RSV는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심각한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감기보다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자들은 RSV 감염을 예방하는 데 신경 써야 합니다.


출처

UpToDat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nfection: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Management."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대한소아호흡기알레르기학회 가이드라인.

홍창의 소아과학, 12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