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돌발진 초기증상부터 대처법까지
1. 🔥돌발진은 어떤 병인가요?
돌발진(roseola, exanthem subitum)은 주로 HHV-6, HHV-7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유아기 특유의 감염 질환입니다.
전형적인 경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자기 39~40도 이상의 고열이 3~5일간 지속
- 고열이 끝나는 시점에서 몸통과 목을 중심으로 발진이 나타남
- 발진은 1~2일 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짐
아이들은 대부분 평소처럼 잘 놀기도 하며, 열 이외에 심각한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2. 🤒초기 증상과 경과는 어떻게 되나요?
보호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점 중 하나는 "발진 없이 고열만 계속되는데 괜찮은 걸까?" 하는 부분입니다.
돌발진의 초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작스런 고열 (39도 이상)
- 기침, 콧물, 설사, 식욕 저하 등이 동반될 수 있음
- 열이 나는 동안 기분이 나빠 보이고 칭얼거림이 많아질 수 있음
👉 열이 떨어지고 나서 발진이 나타나면 돌발진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발진은 어떤 모양인가요?
열이 떨어지고 나서 나타나는 발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한 분홍색의 반점 모양, 약간의 융기가 있는 경우도 있음
- 주로 몸통, 목, 등, 엉덩이를 중심으로 나타남
- 얼굴과 팔다리에는 비교적 적게 나타남
- 가려움은 거의 없음
- 1~2일 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소실
4.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는 언제일까요?
대부분의 돌발진은 자가 회복이 가능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열이 5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열성 경련이 발생한 경우
- 열이 떨어졌는데도 아이가 축 처져 있거나 무기력한 경우
- 발진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상출혈처럼 보이는 경우
- 24개월 이후 처음으로 발생한 고열이라면 다른 감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5.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돌발진은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 없이도 회복됩니다.
다만,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이 필요합니다:
- 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
- 수분 섭취 권장
- 휴식
- 필요 시 해열제와 냉찜질 병행
항생제는 효과가 없습니다. 돌발진은 바이러스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6. 🧼전염성은 있나요? 격리는 필요한가요?
- 돌발진은 전염성은 낮은 편이나, 고열 초기에는 전파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열이 있는 동안은 어린이집, 유치원 등원 자제
- 열이 내리고 컨디션이 회복되면 등원 가능
격리 기준은 명확하진 않지만, 보통 열이 사라지고 24시간 이상 지나면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합니다.
7. 👨👩👧보호자가 가장 많이 하는 질문
- Q: 예방접종으로 막을 수 있나요?
→ 현재까지 돌발진 예방 백신은 없습니다. - Q: 반복될 수 있나요?
→ 대부분은 한 번만 걸리고 면역이 생기지만, HHV-7에 의해 드물게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출처
- UpToDate: Roseola infantum (exanthem subitum)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감염학회 가이드라인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더 많은 육아 정보는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하세요 👉 @소아과언니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아요!
🦠수족구병 증상과 관리법: 손발입 물집, 어떻게 대처할까?
🦠수족구병 증상과 관리법: 손발입 물집, 어떻게 대처할까?
1. 🤒 수족구병이란?수족구병(Hand-Foot-and-Mouth Disease, HFMD)은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나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에 의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이에요. 주로 만 5세 이하 영유아에서 흔하고,
aesarang.com
🍼아이 영양제 추천, 꼭 필요한 것부터 챙기세요!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영양제’**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많이 먹인다고 좋은 건 아니죠. 성장 단계에 따라 꼭 필요한 영양소와 선
aesarang.com
👶 아기 키 몸무게 정상 범위, 한눈에 확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는 걸까요?병원에 가면 듣는 "정상 범위입니다"라는 말, 과연 어떤 기준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른 생후 24개월까지의 키와 몸무게 정상 범위를 한
aesar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