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유행성 결막염이란?
유행성 결막염은 주로 아데노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높은 결막의 염증입니다. 특히 여름철(6~8월)에 유행하며, 어린이집, 학교, 학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
👁🗨 2.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보호자가 알아두어야 할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쪽 눈 충혈 (초기에는 한쪽만 시작하기도 함)
- 눈꺼풀 붓기와 눈물 흘림
- 끈적한 눈곱 또는 점액성 분비물
- 이물감, 가려움, 통증
- 빛에 민감해짐 (광선 공포증)
▶️ 심한 경우 눈 주변 림프절이 붓거나, 각막 혼탁으로 시야가 흐려질 수도 있습니다.
🦠 3. 전염 경로는?
유행성 결막염은 환자의 눈 분비물, 손, 수건, 수영장 물, 장난감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바이러스는 **잠복기(5~12일)**를 거쳐 발병하며, 증상 시작 후 약 2주간 전염성이 있습니다.
🧼 4. 가정에서의 관리 방법
가벼운 경우 자가 관리도 가능하지만, 아래 방법을 꼭 지켜주세요.
- ✔️ 눈을 만지지 않기
- ✔️ 손 자주 씻기
- ✔️ 수건, 베개, 안약 개인별로 분리 사용
- ✔️ 냉찜질로 증상 완화
- ✔️ 분비물은 멸균 생리식염수로 닦기
- ✔️ 등원·등교 중지 필요 (감염력 높은 시기)
※ 의사 처방에 따라 항생제 점안제나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5. 병원 진료가 꼭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안과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 증상이 5일 이상 지속
- 눈 통증이 심하거나 시야가 흐려짐
- 아이가 눈을 뜨기 힘들어하거나 강한 이물감을 표현
- 형제 자매 또는 보호자도 증상을 보이기 시작
🚫 6.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 아이가 눈을 비비지 않도록 지도
- 개인 위생 용품 철저히 분리
- 유행 시기에는 공공 수영장 이용 자제
- 유행이 있는 학급의 경우 조기 격리와 진료 유도
📚 출처
- UpToDate: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
- 홍창의 소아과학
- 대한안과학회 결막염 가이드라인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반응형
'아이 질병과 진료 정보 > 감염성 질환 및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홍열 증상과 치료, 알아두세요 (5) | 2025.06.18 |
---|---|
🦠농가진 증상과 관리법 총정리 (유아·소아 중심) (12) | 2025.06.15 |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열·결막염·설사까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4) | 2025.06.08 |
🔺 생식기 가려움·통증 원인과 치료 가이드 (0) | 2025.06.05 |
👶돌발진 초기증상부터 대처법까지 (2)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