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질병과 진료 정보/감염성 질환 및 예방

🦠농가진 증상과 전염, 소아 관리법 총정리

soagwaunnie 2025. 6. 15. 14:00
반응형

1. 🧼농가진이란? – 피부에 생기는 전염성 세균감염

농가진은 주로 황색포도알균이나 연쇄상구균이 피부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전염력이 강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집단으로 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로 코 주변, 입 주변, 손, 팔, 다리에 생기며,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합니다.


2. 🧒누가 잘 걸릴까요?

  • 3세~7세 소아에서 흔하게 발생
  • 아토피 피부염, 상처, 벌레물림 부위에서 시작
  • 면역력이 약한 아이
  • 손으로 상처를 자주 만지는 습관이 있는 경우

3. 🔍주요 증상은 어떤가요?

  • 작은 붉은 반점 → 물집 → 고름 → 노란 딱지
  • 가려움과 통증은 경미하거나 없음
  • 딱지가 퍼지면서 주변 피부로 전염됨
  • 얼굴, 팔다리, 엉덩이 등 노출 부위가 흔한 발생 부위

📌 대표적인 형태

  1. 비수포성 농가진 (일반적): 노란색 딱지
  2. 수포성 농가진: 얇은 물집이 생겼다 터지며 딱지
출처: 서울아산병원질환백과

 


4. 💊어떻게 치료하나요?

  • 국소 항생제 연고: 무피로신(mupirocin) 등
  • 경구 항생제: 광범위하게 퍼진 경우, 재발하는 경우
  • 병변 부위 세척: 매일 미지근한 물과 순한 비누로 딱지 제거
  • 손톱 짧게 깎기, 손 씻기 교육 필수

🙅‍♀️ 스테로이드 연고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5. 🏠집에서 관리할 때 주의사항

  • 수건, 베개, 의류 개인별로 분리 사용
  • 아기 손으로 병변 긁지 않게 주의
  • 상처 부위 거즈로 덮어 보호 가능
  • 등원·등교는 치료 후 감염력 없어질 때까지 중지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딱지를 떼도 되나요?
👉 살짝 불려서 부드럽게 제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제로 떼는 건 피하세요.

Q. 다시 재발할 수 있나요?
👉 아토피 피부염 등 기저질환이 있거나 위생관리가 안 되면 재발할 수 있습니다.

Q. 어린이집은 언제쯤 등원 가능한가요?
👉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48시간 지나면 전염력은 크게 줄어들며, 병변 부위가 딱지로 덮이고 새 병변이 생기지 않으면 등원 가능하다고 봅니다. 다만 정확한 시점은 소아과 전문의 판단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출처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UpToDate: Impetigo in children: Management and prevention
  • 대한피부과학회, 대한소아과학회 권고안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더 많은 육아 정보는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하세요 👉 @소아과언니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아요!

 👣 손발 껍질 벗겨짐, 왜 생기나요?

 

👣 손발 껍질 벗겨짐, 왜 생기나요?

1. 🔄 정상적인 생리적 탈피생후 1~2주 신생아는 양수에 오래 노출된 피부가 벗겨질 수 있어요.별다른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2. 🌬️ 건조한 피부겨울철 난방, 목욕 후 보습 부족, 잦

aesarang.com

 

🦟 모기 알러지 증상? 일반 모기 물림과 달라요

 

🦟 모기 알러지 증상? 일반 모기 물림과 달라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전문의입니다👩‍⚕️여름이 다가오면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문의하시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모기 알러지" 입니다. 단순한 모기 물림과 어떻게 다른지, 심할 때 어떻게 대

aesarang.com

 

 

✋ 아기 손 사용 늦어요? 발달 지연일까요

 

✋ 아기 손 사용 늦어요? 발달 지연일까요

1. 🧠 손 사용은 뇌 발달의 중요한 지표생후 초기에는 양손을 대칭적으로 사용하지만, 생후 3~6개월이 지나면 손을 뻗거나 장난감을 잡는 등의 능력이 나타납니다. 이 시기에 특정 손만 쓰거나

aesara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