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건강검진 길라잡이 14

폐렴구균 백신 완전정리: 뉴박스15 vs 프리베나20 차이·선택·접종·주의사항

1. 🦠 폐렴구균, 왜 꼭 예방접종이 필요한가?폐렴구균은 영유아에서 폐렴, 중이염, 뇌수막염,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세균입니다.특히 만 5세 미만, 면역저하, 만성질환 아동은 침습성 감염(혈액·뇌수막 침범) 위험이 높습니다.예방접종은 이런 심각한 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2025년 10월부터 **PCV20(프리베나20)**이 국가예방접종에 새롭게 도입됩니다.2. 💉 백신 종류와 예방 혈청형백신명제조사예방 혈청형특징PCV13화이자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기존 NIP 백신PCV15 (뉴박스15)MSDPCV13 혈청형 + 22F, 33F2024년 국내 출시PCV20 (프리베나20)화이자PCV15 혈청형 + 8, 10A..

💉베이포투스 접종(RSV예방접종), 꼭 맞아야 할까요? 효과·가격·부작용 총정리

1️⃣ 베이포투스란? RSV 예방을 위한 ‘항체 주사’ 🧬베이포투스(Beyfortus, 성분명 니르세비맙 nirsevimab)은 백신이 아니라 항체 주사입니다.즉, 우리 몸이 항체를 스스로 만드는 게 아니라,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를 막는 완성된 항체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이에요.👉 한 번 맞으면 5개월 이상 예방 효과가 유지되어, RSV 유행 시즌(가을~봄) 동안 아기를 보호해줍니다.2️⃣ 꼭 맞아야 하나요? 맞으면 얼마나 도움이 되나요? 🌿RSV는 생후 1세 미만 아기에게서 모세기관지염, 폐렴, 무호흡 같은 중증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특히 신생아나 미숙아, 선천성 심장질환·폐질환이 있는 아기는 입원 위험이 훨씬 높습니다.👉 실제 효과 근거스페인, 프랑스 등에서 진행된 대규모 연구 결과..

🛡 프리베나 20가 도입! 이전에 맞던 아이들은 어떻게 할까요?

1. 📢 10월부터 시작되는 PCV20 무료 접종2025년 10월 1일부터 **폐렴구균 20가 단백결합백신(PCV20)**이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새롭게 도입됩니다.이전까지는 13가(PCV13) 또는 15가(PCV15) 백신으로 접종했지만, 이제 20가 백신이 추가되어 **더 많은 혈청형(총 20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기존 대비 장점: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 범위 확대, 고위험군 연령 지원 확대(만 18세까지) 2. 💉 PCV20 접종 대상과 일정대상: 생후 2개월 이상 모든 소아·청소년기본 일정(건강한 소아 기준)2, 4, 6개월에 3회 접종12~15개월에 추가 1회 접종첫 접종 시 나이에 따른 접종 횟수 변화2~6개월 시작: 기..

❄ 독감예방접종 시기와 백신 종류 총정리

1. 📆 2025년 독감접종, 언제부터 시작하나요?접종 권장 시작 시기: 2025년 9월 중순부터항체 형성까지 약 2주 소요되므로, 유행 전 9~10월 접종이 가장 효과적입니다.독감 유행은 보통 12월~3월에 집중됩니다.2. 💉 백신 종류는? 3가 vs 4가 백신 구분 3가 백신 4가 백신 포함 바이러스A형 2종 + B형 1종A형 2종 + B형 2종효과 범위좁음넓음 (B형 유행 시 유리)현재 권장✅ 올해 국가 권장접종 B형 yamagata 효용성 낮음 ✅ 2025년부터는 대부분 3가 백신으로 접종이 이뤄지며, 국가예방접종(NIP) 대상자도 3가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습니다. 3. 👶 나이별 접종 횟수와 방법 나이 접종 횟수 간격 6개월~만 8세 미만 (생애 첫 접종)2회4주 간격6개월~..

💉6가 혼합백신 헥사심 vs. 5가 혼합백신 펜탁심: 차이점 정리

👀 1. 핵심 차이점 한눈에 보기 항목 6가 백신 (헥사심) 5가 백신 (펜탁심) 포함 항원 수6가지5가지포함 질병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간염, 폴리오,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Hib)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HibB형간염 포함 여부✅ 포함❌ 미포함접종 횟수간소화 가능 (추가 접종 필요 없음)B형간염은 별도 접종 필요접종 시기생후 2, 4, 6개월생후 2, 4, 6개월 + B형간염은 따로 📌 2. 헥사심(6가 백신)이란?헥사심은 6가지 항원을 한 번에 맞을 수 있는 프랑스 사노피사에서 제조한 혼합백신으로, 기초접종 3회를 모두 이 백신으로 완료하면 B형간염 추가접종이 필요 없습니다.예방 가능한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B형간염소아마비Hib (b형헤모필루..

🧷 RSV 예방접종 최신 정보: 베이포터스 vs 시나지스 차이와 접종 대상

1. ⓵ RSV는 어떤 바이러스인가요?RSV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로, 주로 영유아의 하기도에 감염을 일으켜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바이러스입니다.특히 생후 6개월 이하의 아기, 조산아, 선천성 심장질환이 있는 아이들은 감염 시 더 심각한 증상을 보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2. ⚕️ RSV 예방접종의 종류는?1) 팔리비주맙 (시나지스®)1개월 간격으로 최대 5회 접종 필요고위험군(조산아, 선천성 심장질환, 만성 폐질환 등) 대상예방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반복 접종과 비용 부담이 있음2) 니르세비맙 (베이포터스®)2024년부터 국내 도입된 신약단 1회 접종으로 RSV 유행 시즌 전체를 예방 가능건강한 영아도 접종 대..

💉 BCG 백신 경피 vs 피내용, 어떤 걸 맞아야 할까?

🦠 결핵 예방 핵심, BCG 백신! 어떤 방식이 더 나을까?우리 아이에게 맞힐 BCG 백신, 피내용과 경피용 중 무엇이 더 나을까요? 많은 부모님들이 헷갈려하는 이 두 방식의 차이와 선택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1. 🧬 BCG 백신이란?BCG는 Bacillus Calmette-Guérin의 약자로, 결핵을 예방하는 생백신입니다.특히 결핵성 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결핵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생후 4주 이내 접종이 권장됩니다.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결핵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BCG 예방접종이 필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2. 💉 피내용 vs 경피용, 뭐가 다른가요? 구분 피내용 BCG 경피용 BCG 접종 방법피부 안에 주사피부에 바늘로 긁어 흡수백신 용량0.05 mL (소량)0.1 mL (2배량..

📏 아기 키 몸무게, 정상 범위는? 성장곡선표로 확인해요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는 걸까요?병원에 가면 듣는 "정상 범위입니다"라는 말, 과연 어떤 기준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른 생후 24개월까지의 키와 몸무게 정상 범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1. 🍼 신생아~24개월, 얼마나 자라나요?아기의 성장은 급격하게 이뤄지는 만큼, 월령에 맞는 평균 키와 몸무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래 표는 남아와 여아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포함한 데이터입니다. 월령 남아 키 (cm) 남아 몸무게 (kg) 여아 키 (cm) 여아 몸무게 (kg) 출생49.9 ± 1.93.3 ± 0.549.1 ± 1.83.2 ± 0.41개월54.7 ± 2.04.5 ± 0.653.7 ± 1.94.2 ± 0.53개월61.4 ± 2.06.4..

👶 아기 키·몸무게 표준 확인하는 법

1. 📏 성장 곡선이란?성장 곡선은 많은 아이들의 신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키, 몸무게, 머리둘레의 백분위 곡선입니다. 보건소나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표준 도표는 세계보건기구(WHO) 또는 대한소아과학회 기준이 사용됩니다.예: 50백분위수는 평균을 의미하며, 3~97백분위수 사이를 정상 범위로 봅니다.2. 📊 월령별 정상 키와 몸무게 표 (남아/여아) 월령 성별 평균 키 (cm) 평균 몸무게 (kg) 신생아남아50.53.3 여아49.53.23개월남아61.46.4 여아60.05.86개월남아67.67.9 여아65.77.39개월남아72.09.0 여아70.68.212개월남아76.19.6 여아74.08.918개월남아82.311.0 여아80.710.224개월남아87.812.2 여아86.011.536개..

🧠일본뇌염 백신 비교: 생백신 vs 사백신

💉1. 일본뇌염이란?일본뇌염은 모기를 통해 전염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드물지만 치명적인 신경계 합병증(뇌염, 경련, 혼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로 여름~가을(7~10월)에 발생하며, 예방접종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2. 일본뇌염 백신의 종류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일본뇌염 백신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구분 생백신 (약독화 백신) 사백신 (불활성화 백신) 제품명LAV (예: 제이브이박스)IIV (예: 그린진백, 이노비오)제조 방식살아있는 약한 바이러스 사용죽은 바이러스 사용접종 횟수2회 기본 접종만 필요3회 기초 + 2회 추가접종접종 간격생후 12개월, 24~35개월생후 12개월, 1~2차 1~2주 간격, 3차는 1년 후면역 효과강력하고 장기 지속안정적이나 재접종 필요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