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질병과 진료 정보 31

🦟 모기 알러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소아과 전문의입니다👩‍⚕️여름이 다가오면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문의하시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모기 알러지" 입니다. 단순한 모기 물림과 어떻게 다른지, 심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오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모기 알러지란? 일반 모기 물림과 뭐가 다를까?모기에 물리면 대부분은 살짝 붓고 간지러운 정도로 끝납니다. 하지만 일부 아이들은 모기의 침 속 단백질에 과민하게 반응해서 심한 알러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흔히 모기 알러지 또는 과민성 모기 물림이라고 부릅니다. 💡 이런 아이들이 특히 잘 생겨요!👶 영유아 및 어린이🌿 알레르기 체질 (아토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면역력이 약한 경우 (드물게 특정 바이러스 감염이나 혈액질환 등)🔎 모기 알러지 증상 이렇게 나타..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기와 뭐가 달라요?

1.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는 이름과 달리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와는 전혀 다릅니다. 주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영유아와 소아에서 후두염(크룹), 세기관지염,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바이러스 종류: 총 4가지(1~4형)전파 경로: 비말, 접촉 감염계절: 주로 가을과 초겨울 유행🛡️원래 유행시기와는 겹치지 않지만 소아감염학회에서는 파라인플루엔자가 바이러스가 많이 확인되는 것으로 발표되었어요!!2. 📈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파라인플루엔자 감염은 일반 감기와 유사하지만, 특정한 증상들이 두드러집니다.🤧 콧물, 코막힘, 기침🌡️ 발열 (보통 38~39도)🗣️ 특이한 ‘개짖는 듯한’ 거친 기침 (크루프)😮‍..

👁 유행성 결막염 증상과 대처법: 전염 주의!

🧩 1. 유행성 결막염이란?유행성 결막염은 주로 아데노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높은 결막의 염증입니다. 특히 여름철(6~8월)에 유행하며, 어린이집, 학교, 학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 2.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보호자가 알아두어야 할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양쪽 눈 충혈 (초기에는 한쪽만 시작하기도 함)눈꺼풀 붓기와 눈물 흘림끈적한 눈곱 또는 점액성 분비물이물감, 가려움, 통증빛에 민감해짐 (광선 공포증)▶️ 심한 경우 눈 주변 림프절이 붓거나, 각막 혼탁으로 시야가 흐려질 수도 있습니다.🦠 3. 전염 경로는?유행성 결막염은 환자의 눈 분비물, 손, 수건, 수영장 물, 장난감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바이러스는 **잠복기(5..

세균성 장염 증상과 대처법 한눈에 보기 👶🏻

1. 🦠 세균성 장염이란 무엇인가요?세균성 장염은 세균이 장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또는 감염자의 분변과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아이들은 손을 자주 입에 넣고,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에 특히 취약합니다.2. 🔍 대표적인 원인균살모넬라균(Salmonella)→ 덜 익힌 계란, 닭고기, 오염된 채소장출혈성 대장균(EHEC, O157:H7)→ 덜 익힌 고기, 감염된 물시겔라균(Shigella)→ 위생상태가 불량한 경우 전파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닭고기, 생우유, 수돗물❗ 일부 대장균은 독소(Shiga toxin)를 만들어 용혈성요독증후군(HUS)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3. 📋 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요?세균성 장염의..

👣 손발 껍질 벗겨짐, 왜 생기나요?

1. 🔄 정상적인 생리적 탈피생후 1~2주 신생아는 양수에 오래 노출된 피부가 벗겨질 수 있어요.별다른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2. 🌬️ 건조한 피부겨울철 난방, 목욕 후 보습 부족, 잦은 손 씻기 등으로 인해 발생.각질이 하얗게 일어나며 가렵지 않은 경우가 많아요.3. 👣 수족각피증 (Keratolysis exfoliativa)손발바닥 표피층이 둥글게 얇게 벗겨지는 양상.주로 여름철 땀이 많고 마찰이 심한 아이에게 나타나며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보습과 자극 회피만으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아요.4. 🦠 감염성 질환농가진: 물집이 잡히고 진물이 나면서 껍질이 벗겨짐.수족구병: 발진 후 물집 → 벗겨짐 순서로 진행되며 열이나 식욕저하 동반.홍역, 성홍열 등도 고열 후 손발 끝에서부터 껍질 벗겨..

🦠성홍열 증상과 치료, 알아두세요

🔍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질병이죠? 어린이에게 갑자기 열이 나고 목이 아프면서 피부에 발진이 퍼진다면? 성홍열일 수 있어요.예전에는 무서운 합병증을 동반했던 질환이지만, 요즘은 항생제로 대부분 치료가 잘 됩니다. 하지만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위험할 수 있어요.1. 🌡️성홍열이란?성홍열(Scarlet fever)은 A군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GA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이에요.대부분 편도염이나 인두염에서 시작되며, 이 세균이 내는 발열독소(erythrogenic toxin) 때문에 전신 증상이 나타납니다.2. 🤒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성홍열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아요:증상설명고열대개 38.5℃ 이상의 갑작스러운 열인후통목이 아프고 삼키기 어려움딸기혀혓바닥이 붉고 오돌토..

🦠농가진 증상과 관리법 총정리 (유아·소아 중심)

1. 🧼농가진이란? – 피부에 생기는 전염성 세균감염농가진은 주로 황색포도알균이나 연쇄상구균이 피부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전염력이 강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집단으로 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주로 코 주변, 입 주변, 손, 팔, 다리에 생기며,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합니다.2. 🧒누가 잘 걸릴까요?3세~7세 소아에서 흔하게 발생아토피 피부염, 상처, 벌레물림 부위에서 시작면역력이 약한 아이손으로 상처를 자주 만지는 습관이 있는 경우3. 🔍주요 증상은 어떤가요?작은 붉은 반점 → 물집 → 고름 → 노란 딱지가려움과 통증은 경미하거나 없음딱지가 퍼지면서 주변 피부로 전염됨얼굴, 팔다리, 엉덩이 등 노출 부위가 흔한 발생 부위📌 대표적인 형태비수포성 농가진 (일반적): 노란색..

🔥화염상 모반, 언제 병원 가야 하나요?

1. 🔍 화염상 모반이란?화염상 모반(port-wine stain)은 출생 직후부터 관찰되는 붉은색 혹은 보라색 반점으로,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목, 팔에 자주 생깁니다.이는 피부 표면 가까이에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생기는 선천성 혈관기형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더 짙어지거나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2. 👶 꼭 치료가 필요한가요?단순히 미용적인 이유 외에도, 아래의 경우에는 정기적인 추적관찰 또는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얼굴 특히 눈 주변이나 이마에 위치한 경우→ Sturge-Weber syndrome이라는 신경계 질환과 연관될 수 있어 뇌 MRI가 필요한 경우도 있음넓은 부위를 덮고 있는 경우점점 색이 진해지거나 피부가 울퉁불퉁해지는 경우3. 💡 다른 반점과 어떻게 구별할까요?구분 ㅣ 화..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열·결막염·설사까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1. 🦠 아데노바이러스란 어떤 바이러스인가요?아데노바이러스는 50개 이상의 혈청형을 가진 DNA 바이러스로, 아이들의 여러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 특히 감기 증상, 눈병(결막염), **소화기 증상(구토, 설사)**을 일으키며, 여름철에 유행이 많지만 연중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한 한 번 감염되었다고 면역이 생기지 않고 혈청형마다 다시 감염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재감염도 자주 일어나요.2. 🌡️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나요?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감염 위치주요 증상호흡기감기처럼 기침, 콧물, 인후통, 발열 (3~7일)눈 (결막염)눈충혈, 이물감, 눈곱, 눈물, 가려움위장관구토, 설사, 복통, 식욕저하비뇨기계배뇨 시 통증, 혈뇨전신고열, 근육통, 무기력감 ✅ ..

🔺 생식기 가려움·통증 원인과 치료 가이드

1. 🦠 외음질염 (Vulvovaginitis)📌 주요 원인: 위생 불량, 땀/소변 자극, 과도한 세정, 꽉 끼는 속옷🧑‍⚕️ 증상: 붉어짐, 가려움, 통증, 냄새나는 분비물✅ 관리 및 치료따뜻한 물 좌욕을 하루 1~2회, 10분 정도 시행 (거품 없이 맹물로)비누나 여성청결제 사용 금지 – 생식기 주변은 맹물로만 씻기기통풍이 잘 되는 면 속옷 착용필요 시 소아과 진료 후 항생제 연고 또는 경구 약물 처방심할 경우 분비물 배양검사 후 원인균에 맞는 치료2. 🧫 세균/진균 감염✅ 요로감염 (UTI)증상: 열, 배뇨통, 잦은 배뇨, 소변 악취치료: 소변검사 후 필요 시 경구 항생제 또는 주사 치료✅ 칸디다증 (진균감염)증상: 흰색 치즈 같은 분비물, 심한 가려움치료: 항진균 크림 또는 좌약, 진균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