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기 체온의 기준과 열이 나는 이유
아기의 정상 체온은 36.5~37.5℃입니다. 체온이 38℃ 이상이면 발열로 간주합니다.
열은 대부분 감염에 대한 몸의 자연스러운 방어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감기나 장바이러스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그 외에도 예방접종 후, 중이염이나 요로감염 같은 세균 감염에서도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열 자체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며, 몸이 균과 싸우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2. 해열제는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
체온 수치만으로 해열제 사용 여부를 결정하진 않습니다.
아기가 열 때문에 불편해할 때 해열제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 체온이 38.5℃ 이상이고, 아기가 힘들어 보일 때
- 열로 인해 수면이나 식사가 어렵거나, 활동성이 감소한 경우
-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는 경우
반대로, 열이 38~39℃ 정도라도 기분이 좋고 잘 놀고 있다면 굳이 해열제를 쓰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것은 숫자보다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입니다.
3. 해열제의 종류와 사용 방법
소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열제는 두 가지입니다: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 생후 2개월 이상부터 사용 가능
- 4~6시간 간격, 하루 최대 4회
- 이부프로펜 (브루펜, 애드빌)
- 생후 6개월 이상부터 사용 가능
- 6~8시간 간격, 하루 최대 3~4회
두 약제를 교차 복용할 수는 있지만, 사용 시간 간격과 용량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량은 체중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정확한 복용량은 소아과 진료나 약사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해열제 없이 열을 낮추는 방법
해열제 외에도 다음과 같은 비약물적 방법으로 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미온수 마사지: 32~34℃ 정도의 물로 몸을 닦아주면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단, 차가운 물이나 알코올은 사용하지 마세요.
- 가벼운 옷 입히기: 땀이 찰 정도로 두껍게 입히면 오히려 열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 수분 보충: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모유, 분유, 미온수 등을 자주 먹여주세요.
이 방법들은 해열제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5. 해열제를 먹였는데 열이 계속 나요
해열제를 먹였는데 열이 완전히 내려가지 않아도, 아기가 편안해 보이고 잘 먹고 논다면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3개월 미만 아기의 발열: 감염 위험이 높아 응급으로 간주
- 39~40℃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
- 5일 이상 열이 지속되는 경우
- 의식이 흐리거나 기운이 없는 경우
- 열성 경련이 발생한 경우
6. 열성 경련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열성 경련은 생후 6개월~5세 사이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반응입니다.
일반적으로 수 분 내에 저절로 멈추고 후유증 없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련 시 대처법:
- 아기를 옆으로 눕혀 기도를 확보하세요.
- 입 안에 손가락이나 물건을 넣지 마세요.
-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 후 의식이 불분명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7. 해열제 복용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체중에 맞는 용량을 정확히 계산해 주세요.
- 두 약제를 교차로 사용할 때는 시간 간격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 이부프로펜은 위장 자극 가능성이 있으므로 식후 복용이 안전합니다.
- 감기약이나 다른 약과 함께 복용할 경우 성분 중복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해열제는 편리하지만, 과용하거나 잘못된 사용은 간과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8. 결론
아기가 열이 날 때 보호자로서 당황할 수 있지만, 차분하게 체온과 아기의 전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열의 숫자보다 아기가 얼마나 힘들어하는지를 기준으로 해열제 사용 여부를 결정해 주세요.
그리고 해열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해지거나, 위험 신호가 보인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주셔야 합니다.
아기의 열은 성장 과정에서 자주 경험하는 일이지만, 올바른 대처로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나갈 수 있습니다.
출처
- UpToDate: Fever in infants and children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해열제 사용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