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1

🫀심초음파 시 진정검사, 꼭 필요한가요?

아이에게 심장초음파를 해야 한다고 들으면, 많은 보호자분들이 "진정제를 꼭 써야 하나요?"라고 물어보세요. 오늘은 심초음파 검사 시 진정이 필요한 경우와 실제 많이 사용되는 진정제인 **포크랄(Chloral hydrate)**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1. 🧐 아이마다 다른 진정 필요성심초음파는 아주 섬세한 구조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아이가 조금만 움직여도 영상이 흐려지고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검사 중 가만히 누워있는 것이 중요합니다.진정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아요:3개월 이상~36개월 사이의 영유아깊은 수면을 유도하기 어려운 아이복잡한 선천성 심질환이 의심되는 경우관상동맥, 대혈관, 판막 등을 정밀하게 평가해야 하는 경우2. ⏳ 자연수면만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경우는?진정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

💓심초음파검사, 어떻게 하나요?

아이가 병원에서 **‘심잡음이 들린다’거나 ‘심장이 조금 빠른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면, 보호자들은 걱정이 많아집니다. 그때 의사 선생님이 권하는 검사가 바로 심초음파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아주 안전하고 중요한 검사예요.이 글에서는 심초음파가 무엇이고, 언제 필요한지, 검사 전 준비사항은 무엇인지 등 보호자분들이 많이 물어보는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해드립니다.1. 🔍 심초음파란 어떤 검사인가요?**심초음파(Echocardiography)**는 초음파를 이용해 심장의 구조와 혈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검사입니다.X-ray나 CT와 달리 방사선 노출이 전혀 없고, 통증도 없기 때문에 아기부터 성인까지 모두 안전하게 받을 수 있어요.✅ 이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들:..

🦟 모기 알러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소아과 전문의입니다👩‍⚕️여름이 다가오면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문의하시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모기 알러지" 입니다. 단순한 모기 물림과 어떻게 다른지, 심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오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모기 알러지란? 일반 모기 물림과 뭐가 다를까?모기에 물리면 대부분은 살짝 붓고 간지러운 정도로 끝납니다. 하지만 일부 아이들은 모기의 침 속 단백질에 과민하게 반응해서 심한 알러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흔히 모기 알러지 또는 과민성 모기 물림이라고 부릅니다. 💡 이런 아이들이 특히 잘 생겨요!👶 영유아 및 어린이🌿 알레르기 체질 (아토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면역력이 약한 경우 (드물게 특정 바이러스 감염이나 혈액질환 등)🔎 모기 알러지 증상 이렇게 나타..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기와 뭐가 달라요?

1.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는 이름과 달리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와는 전혀 다릅니다. 주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영유아와 소아에서 후두염(크룹), 세기관지염,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바이러스 종류: 총 4가지(1~4형)전파 경로: 비말, 접촉 감염계절: 주로 가을과 초겨울 유행🛡️원래 유행시기와는 겹치지 않지만 소아감염학회에서는 파라인플루엔자가 바이러스가 많이 확인되는 것으로 발표되었어요!!2. 📈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파라인플루엔자 감염은 일반 감기와 유사하지만, 특정한 증상들이 두드러집니다.🤧 콧물, 코막힘, 기침🌡️ 발열 (보통 38~39도)🗣️ 특이한 ‘개짖는 듯한’ 거친 기침 (크루프)😮‍..

🫀심실중격결손이란?

1. 💔 심실중격결손이란?**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 벽(중격)에 구멍이 생긴 선천성 심장질환입니다.정상에서는 좌우 심실이 구분되어야 하지만, 결손이 생기면 좌심실의 혈액이 우심실로 흘러 폐혈류가 증가하고, 심장에 부담이 생깁니다.🧒 대부분 생후 수개월 내 발견되며, 소리로 들을 수 있는 심잡음이 진단의 실마리가 됩니다. 2. 🔍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심잡음 (진찰 시 발견)😮‍💨 호흡이 빠르고 힘들어 보임🍼 수유를 자주 멈추거나 먹는 양이 적음📉 체중이 잘 늘지 않음🦠 폐렴을 자주 앓음⚠️ 단, 결손이 작으면 무증상인 경우도 흔합니다.3. 🧪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청진: 심잡음 유무 확인심장초음파: 가장..

👁 유행성 결막염 증상과 대처법: 전염 주의!

🧩 1. 유행성 결막염이란?유행성 결막염은 주로 아데노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높은 결막의 염증입니다. 특히 여름철(6~8월)에 유행하며, 어린이집, 학교, 학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 2.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보호자가 알아두어야 할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양쪽 눈 충혈 (초기에는 한쪽만 시작하기도 함)눈꺼풀 붓기와 눈물 흘림끈적한 눈곱 또는 점액성 분비물이물감, 가려움, 통증빛에 민감해짐 (광선 공포증)▶️ 심한 경우 눈 주변 림프절이 붓거나, 각막 혼탁으로 시야가 흐려질 수도 있습니다.🦠 3. 전염 경로는?유행성 결막염은 환자의 눈 분비물, 손, 수건, 수영장 물, 장난감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바이러스는 **잠복기(5..

🫀심방중격결손(ASD), 언제 치료하고 어떻게 관리할까요?

🩺 1. 심방중격결손이란?심방중격결손(ASD, Atrial Septal Defect)은 심장의 좌우 심방 사이에 생긴 구멍입니다.이 구멍을 통해 좌심방의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우심방으로 흐르며,시간이 지나면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는 좌우 단락(Left-to-right shunt)**이 생깁니다.보통은 증상이 없고 정기검진에서 심잡음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언제 발견되나요?대부분의 ASD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견됩니다:생후 1~3개월 무렵 심잡음으로 심장초음파 시행건강검진 중 발견반복되는 호흡기 감염, 성장 부진, 드문 경우 청색증🔍 3. ASD는 다 똑같지 않아요심방중격결손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가장 흔한 형태는 👉 이공형(Secundum type)이며 전체 AS..

💓심장초음파 필요한 순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검사 시점

아이의 건강한 심장은 평소엔 보이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면 운동, 성장,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신생아를 제외한 영유아기~청소년기까지, 심장초음파가 필요한 주요 상황들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1. 🎧 심잡음이 들릴 때심잡음은 흔하지만, 그 중 일부는 병적 심잡음일 수 있어요.특히 아래 상황이라면 심초음파로 구조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운동 시 악화되는 심잡음✅ 누워있을 때보다 서 있을 때 심잡음이 강해지는 경우✅ 심잡음이 매우 크거나 이완기에도 들릴 때2. 🏃 운동할 때 가슴 통증이나 어지러움이 있다면?아이들이 뛰어놀다가 “가슴이 아파요”, “어지러워요”, “숨이 차요”라고 하면 단순히 지친 걸로 넘기기 쉬워요. 하지만 운동 시 반복되는 증상이라면 심장 이상 신호일 수 있어 꼭 ..

세균성 장염 증상과 대처법 한눈에 보기 👶🏻

1. 🦠 세균성 장염이란 무엇인가요?세균성 장염은 세균이 장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또는 감염자의 분변과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아이들은 손을 자주 입에 넣고,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에 특히 취약합니다.2. 🔍 대표적인 원인균살모넬라균(Salmonella)→ 덜 익힌 계란, 닭고기, 오염된 채소장출혈성 대장균(EHEC, O157:H7)→ 덜 익힌 고기, 감염된 물시겔라균(Shigella)→ 위생상태가 불량한 경우 전파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닭고기, 생우유, 수돗물❗ 일부 대장균은 독소(Shiga toxin)를 만들어 용혈성요독증후군(HUS)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3. 📋 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요?세균성 장염의..

이유식 거부 아기, 원인부터 대처법까지 한눈에!

👶 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할 때 보호자는 당황하고 속상하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이유식을 심하게 거부하는 아기의 원인과 현명한 대처법을 정리해 드릴게요.1. 🍼 이유식 거부, 언제부터 걱정해야 할까?대부분의 아기들은 생후 4~6개월 사이에 이유식을 시작하지만, 초기에는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것이 흔합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적극적인 관찰과 개입이 필요합니다.이유식 시작 2~3주가 지나도 전혀 삼키려 하지 않을 때음식을 보거나 입에 넣으면 극도로 거부하며 울음을 터뜨릴 때체중 증가가 정체되거나 감소할 때먹을 때마다 구역질을 하거나 토하는 경우2. 🤔 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하는 주요 원인발달 준비 부족목 가누기, 혀 내밀기 반사 소실 등 먹는 준비가 아직 안 됐을 수 있어요.초기 이유식의 질감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