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은 날씨가 급격히 쌀쌀해지고, 실내활동이 많아지면서 바이러스성 감염병이 급증하는 시기입니다.
어떤 질환이 유행하고, 우리 아이를 어떻게 지켜야 할지 소아과 전문의와 함께 알아볼게요!
1. ❄️ 독감(인플루엔자) 유행 시작
10월은 독감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원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증상: 고열, 근육통, 오한, 마른기침, 두통
- 특징: 감기보다 갑자기 심하게 시작됨
- 예방: 9~10월 독감 예방접종 필수!
2. 🤒 감기 & 모세기관지염
환절기에는 흔한 감기도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2세 미만은 모세기관지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해요.
- 원인: 주로 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RSV 등
- 증상: 콧물, 기침, 미열, 코막힘
- 주의: 생후 6개월 미만 RSV 감염 시 입원 가능성 ↑
🧪 RSV 예방 항체 주사인 니르세비맙도 고위험군은 고려할 수 있어요.
🧷 RSV 예방접종 최신 정보: 베이포터스 vs 시나지스 차이와 접종 대상
🧷 RSV 예방접종 최신 정보: 베이포터스 vs 시나지스 차이와 접종 대상
1. ⓵ RSV는 어떤 바이러스인가요?RSV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로, 주로 영유아의 하기도에 감염을 일으켜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바이러스입
aesarang.com
3. 🦶 수족구병
9~10월은 수족구병이 다시 유행하는 시기입니다.
- 원인: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 증상: 입안 궤양, 손발 수포, 열, 식욕저하
- 전파: 접촉 감염(침, 대변 등)
- 예방법: 손 씻기 철저, 장난감 소독
👶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집단 발생 가능성 높습니다.
🦠수족구병 증상·물집 관리법 총정리
1. 🤒 수족구병이란?수족구병(Hand-Foot-and-Mouth Disease, HFMD)은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나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에 의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이에요. 주로 만 5세 이하 영유아에서 흔하고,
aesarang.com
4.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예년보다 조금 빠르게, 10월부터 산발적 유행이 관찰됩니다.
- 원인: Mycoplasma pneumoniae
- 증상: 기침이 2주 이상 지속, 열, 두통
- 진단: 흉부 X-ray, 혈액검사, PCR 등
- 치료: 항생제 (마크롤라이드계, 예: 아지스로마이신)
⚠️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반드시 진료받으세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아이가 감기처럼 시작했는데 왜 오래 갈까요?
5. 👁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10월에도 눈병 유행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원인: 아데노바이러스
- 증상: 충혈, 눈곱, 이물감, 발열 동반
- 전파: 매우 강한 접촉감염! 가족 간 전염도 흔함
- 예방법: 손 위생, 수건 개인사용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열·결막염·설사까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열·결막염·설사까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1. 🦠 아데노바이러스란 어떤 바이러스인가요?아데노바이러스는 50개 이상의 혈청형을 가진 DNA 바이러스로, 아이들의 여러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 특히 감기 증상, 눈병(결막염), **소
aesarang.com
6. 👶 노로바이러스 장염
기온이 떨어질수록 증가하는 장염의 대표 원인입니다.
- 증상: 구토, 설사, 복통, 열
- 전파: 접촉, 오염된 음식
- 치료: 수분 보충이 가장 중요!
🚨 탈수 증상(무기력, 눈물 없음, 소변 감소 등)은 병원 진료 필요
보호자 Q&A 💬
Q. 독감 백신 맞았는데 감기처럼 앓는 건 왜 그런가요?
A. 독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만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일반 감기나 다른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어요.
Q. 수족구병인데 등원해도 되나요?
A. 고열이 있거나 궤양 때문에 통증이 심하면 가정 내 휴식이 필요합니다. 전파 가능성이 높아 감염 후 최소 3~5일 격리 권장됩니다.
Q. 기침만 계속해도 병원 가야 하나요?
A. 2주 이상 지속되거나, 밤에 잠을 못 잘 정도면 진료가 필요해요. 마이코플라즈마, RSV, 천식 등 감별해야 합니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예방 수칙
👐 손 씻기 철저히 (특히 외출 후, 배변 후)
🚫 아픈 아이는 등원 중지
🧸 장난감, 물건 자주 소독
🏥 예방접종 일정 맞추기
🧤 개인 수건, 컵, 식기 사용하기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더 많은 육아 정보는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하세요 👉 @소아과언니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출처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
- UpToDate: Seasonal infectious diseases in children
-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 (KDCA)
'아이 질병과 진료 정보 > 감염성 질환 및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뇌수막염 주의! 7~8월에 급증하는 이유는? (22) | 2025.07.20 |
---|---|
👁 유행성결막염 증상·전염·치료 총정리 (10) | 2025.07.06 |
🦠성홍열 증상과 치료, 열나고 발진 나면 의심! (5) | 2025.06.18 |
🦠농가진 증상과 전염, 소아 관리법 총정리 (17) | 2025.06.15 |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고열·결막염·설사까지?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 (4)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