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 실신이란 무엇인가요?
**실신(Syncope)**은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졌지만, 수분 이내에 저절로 회복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아이의 경우, 갑작스럽게 힘이 풀리며 쓰러지거나 기절한 모습에 보호자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아 실신은 일시적인 뇌혈류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그 원인의 80~90%는 양성(위험하지 않음)입니다.
📌 ‘기절’과는 다르며, 경련이나 의식저하와는 감별이 필요합니다.

2. 💡 소아 실신의 주요 원인 3가지
🧘 ①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Vasovagal syncope)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스트레스, 통증, 더운 날씨, 오랜 시간 서 있기 등 자율신경 자극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실신 전 징후(Prodrome)**가 동반됩니다:
- 어지러움, 메스꺼움
- 식은땀
- 눈앞이 흐려짐
🪑 ②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
- 갑자기 일어날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발생
- 탈수, 다이어트, 수면 부족과 연관
- 사춘기 여아에서 흔함
⚡ ③ 심장 질환
- 빈맥, 서맥 등 부정맥, 구조적 심질환(예: 비후성 심근병증 등)
- 전체 소아 실신의 1~2% 정도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3. ⚠️ 이런 실신은 꼭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심장 또는 신경학적 평가가 필요합니다.
위험 신호 | 설명 |
🏃♂️ 운동 중 실신 | 축구, 체육 시간, 달리기 중 발생 |
💤 전조 증상 없이 갑자기 쓰러짐 | 어지럼증 없이 갑자기 의식 소실 |
💙 청색증 동반 | 실신 중 입술, 얼굴이 파래짐 |
🧬 가족력 | 젊은 나이의 심장마비 가족력 |
💓 심잡음, 가슴 통증 동반 | 부정맥 또는 심장질환 가능성 |
4. 🔍 어떤 검사를 받게 되나요?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로 실신의 원인을 감별합니다.
🩺 기본 검사
- 활력징후(혈압, 맥박)
- 혈당 검사 (저혈당 감별)
🧾 심장 관련 검사
- 심전도 (ECG): 부정맥 여부 확인
- 심장 초음파: 구조적 이상 여부 평가
- Holter monitor: 24시간 심전도 기록(필요에 따라)
- 운동부하검사 (경우에 따라)
🔄 기립경사검사 (Tilt table test)
-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진단에 특화
- 눕힌 상태에서 천천히 기울여 혈압과 심박수 변화 관찰
🧠 신경학적 검사 (필요 시)
- 뇌파: 경련과의 감별
- 뇌 MRI: 신경계 질환 의심 시
5. 👩👧 실신이 일어났을 때 부모가 해야 할 대처법
🆘 실신 시 응급 대처
- 아이를 바닥에 눕히고 다리를 높게 올려주세요.
- 머리를 옆으로 돌려 기도 확보
- 꽉 조인 옷(벨트, 넥타이 등)은 풀어줍니다
- 주변을 안전하게 확보하여 2차 외상을 방지
- 1분 이상 의식이 돌아오지 않으면 119
💬 실신 후 의식이 돌아왔더라도 병원에서 원인을 평가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6. ✅ 실신 재발을 막는 생활 습관
-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염분도 적절히 섭취
- 🥗 아침을 거르지 않기
- 🚫 오랫동안 서 있기 피하기
- 😰 과도한 스트레스 줄이기
- 📚 체육활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
운동 중 실신 경험이 있는 경우, 심장검사 후 운동 가능 여부를 평가해야 합니다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출처
- UpToDate: 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24)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 자료 (2023–2024)
반응형
'소아심장 진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초음파 시 진정검사, 꼭 필요한가요? (13) | 2025.07.17 |
---|---|
💓심초음파검사, 어떻게 하나요? (12) | 2025.07.15 |
🫀심실중격결손이란? (6) | 2025.07.08 |
🫀심방중격결손(ASD), 언제 치료하고 어떻게 관리할까요? (9) | 2025.07.03 |
💓심장초음파 필요한 순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검사 시점 (1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