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가와사키병이란?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주로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전신 혈관염입니다. 면역 반응 이상으로 인해 작은 혈관부터 큰 혈관까지 염증이 생기고, 특히 심장 혈관(관상동맥)에 염증이 생겨 관상동맥류를 만들 수 있어 반드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2. 🌡️ 어떤 증상으로 시작되나요?
가와사키병은 다음과 같은 6가지 주요 증상 중 5일 이상 열 + 4가지 이상이면 진단을 고려합니다:
- 양측 결막 충혈 (눈곱 없이 양쪽 눈이 붉음)
- 입술 및 구강 변화 (딸기혀, 입술 건조/균열)
- 손발의 변화 (손발이 붓고 빨개짐, 이후 피부 벗겨짐)
- 다형홍반성 발진 (몸 전체 또는 사지에 다양한 형태의 발진)
- 경부 림프절 비대 (대개 한쪽 목에서 1.5cm 이상)
⚠️ 초기에는 열 외에 뚜렷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비전형적 가와사키병의 경우 증상이 불완전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3. 🔍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가와사키병은 명확한 혈액검사로 진단할 수 없기 때문에, 임상 증상과 심초음파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보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 결과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백혈구 증가, CRP/ESR 상승 (염증 수치 상승)
- 혈소판 수치 상승 (보통 1주일 후부터 증가)
- 간효소 상승, 소변 내 백혈구 존재
- 심초음파: 관상동맥 확장 여부 확인
4. 💉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발병 후 10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치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IVIG(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 2g/kg 단회 투여
- 고용량 아스피린: 열이 있는 동안은 고용량(30~50mg/kg/day), 해열 후에는 저용량(5mg/kg/day)으로 관상동맥 보호를 위해 6~8주간 유지
- 반응이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 인플릭시맙 등 추가 면역조절제 사용 고려
5. ❤️ 가장 중요한 건 ‘심장 합병증’
가와사키병에서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관상동맥류입니다.
이는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치료 시기가 늦을수록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 치료를 잘 받아도 전체 환자의 약 3~5%는 관상동맥 확장 또는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어,
**모든 환자에게 심장초음파(심초음파)**는 꼭 시행해야 합니다.
6. 🔁 심초음파 추적 관찰 주기와 이유
가와사키병에서는 초기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관상동맥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정기적인 심초음파가 필요합니다.
✅ 추적관찰 시기 :
관상동맥 상태 | 심초음파 f/u 주기 |
정상 | 진단 시 → 치료 2주 후 → 치료 6~8주 후까지 총 3회 |
경도 확장 | 매 2~4주 간격으로 6~8주까지, 이후 6개월/1년 간격 |
관상동맥류 | 크기에 따라 1~2주 단위 또는 매월 추적 → 1~2년 이상 장기 f/u 필요 |
거대 관상동맥류(Z-score ≥10) | 심장 CT, MRI, 스트레스 테스트 병행하며 소아심장 전문의 장기 추적 필요 |
※ 관상동맥 Z-score ≥2.5 이상이면 확장으로 간주하며, Z ≥5는 관상동맥류, Z ≥10은 거대 관상동맥류로 분류합니다.
7. 👨👩👧 형제나 다른 아이도 걸릴 수 있나요?
가와사키병은 전염병은 아니지만, 같은 집단 내 유행처럼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형제자매의 경우 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검진이 필요하며, 극히 드물지만 재발(약 2~3%) 가능성도 있습니다.
📌 소아과 전문의가 직접 작성한 육아·소아 건강정보입니다.
더 많은 육아 정보는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하세요 👉 @소아과언니
혹시 더 궁금한 주제가 있으시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아요!
🦠성홍열 증상과 치료, 열나고 발진 나면 의심!
🔍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질병이죠? 어린이에게 갑자기 열이 나고 목이 아프면서 피부에 발진이 퍼진다면? 성홍열일 수 있어요.예전에는 무서운 합병증을 동반했던 질환이지만, 요즘은 항생제
aesarang.com
💓심장초음파 필요한 순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검사 시점
💓심장초음파 필요한 순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검사 시점
아이의 건강한 심장은 평소엔 보이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면 운동, 성장,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신생아를 제외한 영유아기~청소년기까지, 심장초음파가 필요한 주요 상황
aesarang.com
👣 손발 껍질 벗겨짐, 왜 생기나요?
1. 🔄 정상적인 생리적 탈피생후 1~2주 신생아는 양수에 오래 노출된 피부가 벗겨질 수 있어요.별다른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2. 🌬️ 건조한 피부겨울철 난방, 목욕 후 보습 부족, 잦
aesarang.com
📚 출처
- UpToDate. Kawasaki disease: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long-term management. 2024.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st Edition
- 홍창의 소아과학 제12판
- 대한소아심장학회 가와사키병 진료지침 및 연례학술대회 자료 (2023–2024)
'소아심장 진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생리적 심잡음이란? 아이 심장에서 나는 정상 소리 (35) | 2025.07.31 |
---|---|
🫀PDA(동맥관개존증)이란? (26) | 2025.07.29 |
❤️소아 흉통 원인과 검사, 심장문제일까? (25) | 2025.07.24 |
🧠 소아 실신, 그냥 지나치면 안 되는 이유! (32) | 2025.07.22 |
🫀심초음파 시 진정검사, 꼭 필요한가요? (13) | 2025.07.17 |